<p></p><br /><br />[앵커] <br>잇따라 터지는 어선 전복 사고에서, 돌이켜보면 작은 어선엔 긴급 상황에서 구조 신호 보낼 수 있는 '브이패스'의 역할이 참 중요합니다. <br> <br>잘 쓰면 정말 좋을텐데 툭하면 먹통이라 제 역할을 못해 문제입니다. <br> <br>다시간다, 이솔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깜깜한 바다 한가운데 선박이 뒤집어져 있습니다. <br> <br>2018년 2월 전남 완도군 청산도 인근 해상에서 발견된 7톤급 통발어선, 근룡호입니다. <br> <br>5년 전 근룡호가 인양됐던 부두입니다. <br> <br>당시 선원 7명 가운데 2명의 시신을 수습했지만, 5명은 끝내 되돌아오지 못했습니다.<br> <br>당시 거센 풍랑에 구조 신호도 못 보내고 순식간에 뒤집힌 겁니다. <br> <br>[근룡호 수색 지원 선장] <br>"그날도 샛바람이었거든요. 동풍. 동풍이면 파도가 좀 많이 커요." <br> <br>근룡호는 선박자동식별장치(AIS)가 꺼지고 3시간 뒤, 지나던 선박에 의해 첫 신고가 이뤄졌습니다. <br><br>모든 어선은 크기에 따라 위치추적 장치를 1개 이상 반드시 설치해야 합니다.<br> <br>특히 배가 크게 기울어지거나 버튼 하나만 눌러도 바로 구조신호와 위치정보가 보내지는 브이패스는 작은 배일수록 필수 장치입니다.<br> <br>하지만, 사고 당시 근룡호는 어떤 구조 신호도 보내지 못했고 브이패스는 아예 2년 전부터 고장 나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 <br> <br>브이패스는 2011년부터 정부가 280억 원을 들여 보급한 결과, 전국 어선의 90.5%, 5만 5천여 척이 사용하고 있습니다.<br> <br>이 브이패스 잘 쓰이고 있을까. <br> <br>어민들은 툭하면 먹통이고 <br> <br>[김형우 / 어선 선장] <br>"조업 알리미라고 있어요. 여기에 어선 위치 조회가 되거든요. 저는 상태도라는 데를 자주 가는데 여기 중간 같은 데를 가면 표출이 안 되더라고." <br> <br>통신 오류도 잦다고 말합니다. <br> <br>[어선 선장] <br>"우리 것은 되는데 해경에서는 잡지를 못하고. 또 해경에서는 잡는데 우리 것이 안 되는 경우도 있고. 송수신이 원활하지 못해." <br> <br>어선법상 위치발신장치는 고장 나면 15일 이내 고쳐야 하지만 이마저 쉽지 않습니다. <br> <br>[어선 선장] <br>"배는 이렇게 많이 포화한 상태인데 (수리) 업체들이 불과 얼마 안 되잖아요. 그러니까 늦어. 수리업체들이 또 없어져 버리고." <br> <br>멀쩡한 장치도 낚시 포인트 등 어장 노출을 꺼려 일부러 꺼두는 경우도 있습니다. <br><br>[어선 선장] <br>"어선들이 이제 저걸 보면 무슨 배가 어디 간 줄 알거든. 현장에 가서 꺼버리는 사람들이 있어. 작업 현장이 노출되니까." <br> <br>모두 다 단속 대상이지만 동시에 수천 척을 관리하는 해경은 엄두도 못 냅니다. <br> <br>[해경 파출소 관계자] <br>"처벌 규정이 있기는 한데, 브이패스로 출입항 하는 배들이 엄청 많기 때문에 저희가 타깃으로 삼아서 하지 않는 한 알 수가 없어요." <br> <br>툭하면 고장 나고, 수리는 오래 걸리고, 영업비밀이라 꺼놓고, 단속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브이패스. <br> <br>어민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습니다. <br> <br>다시간다 이솔입니다. <br><br>PD : 홍주형 <br>작가 : 이태희<br /><br /><br />이솔 기자 2sol@ichannela.com